App노자

[Kotlin] Array 클래스 본문

Android/Kotlin

[Kotlin] Array 클래스

앱의노예 2023. 7. 21. 22:53

1. Array 클래스란?


fun main() {
    val numbers = arrayOf(4, 5, 7, 3)
    val animals = arrayOf("Cat", "Dog", "Lion")

    for (element in numbers) {
        print("$element, ")
    }
    println()
    for (e in animals) print("$e, ")

}

코틀린에서 배열은 Array 클래스로 표현된다

기본적으로 배열은 1차원적으로 순서 번호에 해당하는 인덱스와 값이 들어 있는 자료형에 따른 요소의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다

기본적인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ArrayOf()나 Array(), 빈 상태의 배열을 지정하는 경우 arrayOfNulls를 사용할 수 있다

 

https://kotlinlang.org/docs/arrays.html

 

Arrays | Kotlin

 

kotlinlang.org

 

2. 배열 제한과 처리


fun main() {

    val arr = intArrayOf(1,2,3,4,5)
    println("arr: ${Arrays.toString(arr)}")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")
    println("sum(): ${arr.sum()}")

    println(arr.get(2))
    println(arr[2])

    arr.set(2, 7)
    arr.get(1)
    arr[0] = 8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 arr[0]: ${arr[0]}, arr[2]: ${arr[2]}")

    // 루프를 통한 배열 요소의 접근
    for (i in 0..arr.size -1) {
        println("arr[$i] = ${arr[i]}")
    }

    println(arr.contains(4))
    println(4 in arr)

}

배열은 정의되면 배열의 길이와 내용이 메모리에 고정된다

따라서 새로운 배열을 선언하고 새로 할당하는 방법으로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

fun main() {

    val arr = intArrayOf(1,2,3,4,5)
    println("arr: ${Arrays.toString(arr)}")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")
    println("sum(): ${arr.sum()}")

    println(arr.get(2))
    println(arr[2])

    arr.set(2, 7)
    arr.get(1)
    arr[0] = 8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 arr[0]: ${arr[0]}, arr[2]: ${arr[2]}")

    // 루프를 통한 배열 요소의 접근
    for (i in 0..arr.size -1) {
        println("arr[$i] = ${arr[i]}")
    }

    println(arr.contains(4))
    println(4 in arr)

}

first()나 last()를 사용하면 첫 번째나 마지막 요소를 확인하고 indexOf()는 특정 요소의 인덱스

average()는 요소의 평균 값, count() 요소의 개수를 확인 할수 있다 

순서를 뒤집는 reversedArray(), reverse(), 요소를 합산하는 sum(), 특정

 

 

 

fun main() {

    val arr = intArrayOf(1,2,3,4,5)
    println("arr: ${Arrays.toString(arr)}")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")
    println("sum(): ${arr.sum()}")

    println(arr.get(2))
    println(arr[2])

    arr.set(2, 7)
    arr.get(1)
    arr[0] = 8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 arr[0]: ${arr[0]}, arr[2]: ${arr[2]}")

    // 루프를 통한 배열 요소의 접근
    for (i in 0..arr.size -1) {
        println("arr[$i] = ${arr[i]}")
    }

    println(arr.contains(4))
    println(4 in arr)

}

 

 

fun main() {

    val arr = intArrayOf(1,2,3,4,5)
    println("arr: ${Arrays.toString(arr)}")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")
    println("sum(): ${arr.sum()}")

    println(arr.get(2))
    println(arr[2])

    arr.set(2, 7)
    arr.get(1)
    arr[0] = 8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 arr[0]: ${arr[0]}, arr[2]: ${arr[2]}")

    // 루프를 통한 배열 요소의 접근
    for (i in 0..arr.size -1) {
        println("arr[$i] = ${arr[i]}")
    }

    println(arr.contains(4))
    println(4 in arr)

}

 

 

 

fun main() {

    val arr = intArrayOf(1,2,3,4,5)
    println("arr: ${Arrays.toString(arr)}")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")
    println("sum(): ${arr.sum()}")

    println(arr.get(2))
    println(arr[2])

    arr.set(2, 7)
    arr.get(1)
    arr[0] = 8
    println("power: ${arr.size} arr[0]: ${arr[0]}, arr[2]: ${arr[2]}")

    // 루프를 통한 배열 요소의 접근
    for (i in 0..arr.size -1) {
        println("arr[$i] = ${arr[i]}")
    }

    println(arr.contains(4))
    println(4 in arr)

}

'Android >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Kotlin] Set과 Map  (0) 2023.07.30
[Kotlin] List  (0) 2023.07.22
[Kotlin] 제네릭(Generic)  (0) 2023.06.18
[Kotlin] 클래스와 클래스의 관계  (0) 2023.05.29
[Kotlin] 연산자 오버로딩  (0) 2023.05.28